멀티미디어 자료
대중교통 이용하기(지하철편)
- 등록자 :관리자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 등록일 :2021-01-07
[대중교통 이용하기(지하철편)]
사회복귀를 준비하는 환자들이 처음 마주하는 두려움 중 하나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 입니다. 예전에는 쉬웠던 대중교통이용도 조금은 어렵고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준비는 아주 중요합니다. 알면 쉽고,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 환자, 보호자가 준비해야 될 사항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환자는 충분한 재활 치료와 심리적 안정과 더불어 천천히 연습을 통해 자신감을 얻고, 스스로 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호자는 환자의 안전을 우선으로 하며, 지지하고 격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두 번째는 환자가 주변환경에 맞는 교통상황을 사전에 알아두는 것입니다. 환자가 주로 이용하는 곳까지 가는 대중교통의 위치와 장애인 편의 시설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세 번째는 환자의 신체에 맞는 지팡이를 준비하고 교통카드는 목걸이형으로 목에 걸어 착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대중교통 이용 전 꼭 기억해야 할 중요한 사항입니다.
시작하기 전에 먼저 오르막길과 계단을 오를 때는 불편하지 않은 다리를 먼저 딛고 내리막길과 계단 내려오기를 할 때는 불편한 다리를 먼저 딛고 내려와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스스로 천천히 하기라는 것을 꼭 기억해 주기시 바랍니다.
일상에서 이동 할 때에는 위험하고 힘든 부분이 많기 때문에 사전 교육과 체험을 통한 많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모든 준비를 마쳤다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러 가보겠습니다. 보호자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환자의 불편한 쪽에 서고 환자와 나란히 걸으며 환자와 주변 상황을 살피며 안전하게 걸어갑니다. 인도는 내리막도 있고 오르막도 있으며 보도블록의 상태가 일정하지 않으니 걷기 전에 바닥의 상태를 확인하고 걷는 것이 중요합니다. 길을 따라 가다 보면 길가에 연결된 골목과 건물의 입구들을 만나게 됩니다. 멈춰 서서 주변에 위험물이 없는 지 확인하고 다시 걸어야 안전합니다.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기 위해서는 횡단보도마다 보행 신호 시간이 다르니 일단 멈추고 신호가 새로 바뀌면 건너는 것이 안전합니다. 횡단보도는 무리하게 건너지 않고 천천히 건넙니다.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신호가 바뀌어도 당황하지 말고 보호자는 환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건넙니다.
지하철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되도록이면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는 이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 이동합니다.
지하철역 개찰구는 넓은 쪽 개찰구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지하철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한가한 시간에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승강장 안으로 들어가면 교통약자석과 장애인 전용석 안내표시가 있는 바닥표시판 또는 출입문을 확인하고 가까운 곳에서 기다립니다. 줄이 길다면 양해를 구하고 맨 앞줄에 서거나 양보를 받지 못하면 기다렸다가 맨 앞줄에 섰을 때 도착한 지하철을 타는 것이 안전합니다.
타기에 지하철역과 전동차 사이의 선로 간격을 꼭 확인하고 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리에 앉을 때에는 안전을 위해 교통약자석에서 가까운 문을 이용합니다. 교통약자석에 앉을 때도 안쪽이 아닌 문 쪽의 안전봉이 설치된 자리에 앉는 것이 이동에 편리하고 안전합니다.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내리는 방향을 미리 확인하고 한 정거장 전에서 먼저 일어나면 편합니다. 자리에서 일어설 때는 불편하지 않은 손으로 안전봉을 잡고 일어나 돌아서 문 앞에 서있다가 내리면 안전합니다. 내릴 때도 지하철 역과 전동차 간의 선로 간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와 보호자 모두 안전하게 지하철에서 내렸습니다. 사전준비와 충분한 체험을 하고 적극적인 마음가짐과 자신감을 가진다면 이제는 집으로 가는 첫 걸음을 시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회복귀를 준비하는 환자들이 처음 마주하는 두려움 중 하나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 입니다. 예전에는 쉬웠던 대중교통이용도 조금은 어렵고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준비는 아주 중요합니다. 알면 쉽고,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 환자, 보호자가 준비해야 될 사항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환자는 충분한 재활 치료와 심리적 안정과 더불어 천천히 연습을 통해 자신감을 얻고, 스스로 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호자는 환자의 안전을 우선으로 하며, 지지하고 격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두 번째는 환자가 주변환경에 맞는 교통상황을 사전에 알아두는 것입니다. 환자가 주로 이용하는 곳까지 가는 대중교통의 위치와 장애인 편의 시설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세 번째는 환자의 신체에 맞는 지팡이를 준비하고 교통카드는 목걸이형으로 목에 걸어 착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대중교통 이용 전 꼭 기억해야 할 중요한 사항입니다.
시작하기 전에 먼저 오르막길과 계단을 오를 때는 불편하지 않은 다리를 먼저 딛고 내리막길과 계단 내려오기를 할 때는 불편한 다리를 먼저 딛고 내려와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스스로 천천히 하기라는 것을 꼭 기억해 주기시 바랍니다.
일상에서 이동 할 때에는 위험하고 힘든 부분이 많기 때문에 사전 교육과 체험을 통한 많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모든 준비를 마쳤다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러 가보겠습니다. 보호자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환자의 불편한 쪽에 서고 환자와 나란히 걸으며 환자와 주변 상황을 살피며 안전하게 걸어갑니다. 인도는 내리막도 있고 오르막도 있으며 보도블록의 상태가 일정하지 않으니 걷기 전에 바닥의 상태를 확인하고 걷는 것이 중요합니다. 길을 따라 가다 보면 길가에 연결된 골목과 건물의 입구들을 만나게 됩니다. 멈춰 서서 주변에 위험물이 없는 지 확인하고 다시 걸어야 안전합니다.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기 위해서는 횡단보도마다 보행 신호 시간이 다르니 일단 멈추고 신호가 새로 바뀌면 건너는 것이 안전합니다. 횡단보도는 무리하게 건너지 않고 천천히 건넙니다.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신호가 바뀌어도 당황하지 말고 보호자는 환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건넙니다.
지하철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되도록이면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는 이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 이동합니다.
지하철역 개찰구는 넓은 쪽 개찰구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지하철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한가한 시간에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승강장 안으로 들어가면 교통약자석과 장애인 전용석 안내표시가 있는 바닥표시판 또는 출입문을 확인하고 가까운 곳에서 기다립니다. 줄이 길다면 양해를 구하고 맨 앞줄에 서거나 양보를 받지 못하면 기다렸다가 맨 앞줄에 섰을 때 도착한 지하철을 타는 것이 안전합니다.
타기에 지하철역과 전동차 사이의 선로 간격을 꼭 확인하고 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리에 앉을 때에는 안전을 위해 교통약자석에서 가까운 문을 이용합니다. 교통약자석에 앉을 때도 안쪽이 아닌 문 쪽의 안전봉이 설치된 자리에 앉는 것이 이동에 편리하고 안전합니다.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내리는 방향을 미리 확인하고 한 정거장 전에서 먼저 일어나면 편합니다. 자리에서 일어설 때는 불편하지 않은 손으로 안전봉을 잡고 일어나 돌아서 문 앞에 서있다가 내리면 안전합니다. 내릴 때도 지하철 역과 전동차 간의 선로 간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와 보호자 모두 안전하게 지하철에서 내렸습니다. 사전준비와 충분한 체험을 하고 적극적인 마음가짐과 자신감을 가진다면 이제는 집으로 가는 첫 걸음을 시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