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내용
장애인·노인 자립생활을 위한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사업
장애인·노인 자립생활을 위한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사업은 경제적 가치 실현 프로젝트(전략품목)와 사회적 가치 실현프로젝트(정책품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제적/사회적 가치 실현프로젝트를 통한 보조기기 개발 프로세스

- step1 수요발굴
- step2 수요선정
- track1 경제적 가치실현 프로젝트
- step3-a 보조기기 개발 및 연구비 지원
- step4 현장실증지원
- step5 제품
- step6 보급정책 컨설팅
- track2 사회적 가치실현 프로젝트
- step3-b 보조기기 개발기획
- step4 정보교류 및 교육
- step5 보조기기 개발
- step6 현장실증
- step7 시제품 오픈소스
- step8 공유
- step9 사업화 컨설팅
- step10 보급정책 컨설팅
경제적 가치 실현프로젝트(보조기기 R&D 과제 지원)
국내외 보조기기 시장에 파급효과가 높아 시장 출시가 가능한 수준의 사업성을 가진 고기술/고부가가치 가능한 유망 제품 개발 및 현장실증 수행을 위해 연구개발을 지원
- (첨단 기술 적용형) 다양한 AI, ICT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장애인·노인의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한 첨단 기술을 장애인·노인 맞춤형으로 적용한 보조기기 개발 지원
- (편익 체감형) 장애인·노인의 실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조사 결과에 따라 보조기기 연구개발 및 현장실증 수행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편익을 증진하기 위한 보조기기 개발 지원
사회적 가치 실현프로젝트(보조기기 열린제작실)
장애인·노인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이지만 개인 특성에 맞춘 보조기기는 개발 및 생산비용이 높아 산업화가 어려운 맞춤형 보조기기 연구개발 수행
- (지역 기반 보조기기 개발 및 확산) 장애인·노인의 전국적 수요 대응을 위해 전국 8개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 기반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맞춤형 보조기기 개발 및 제작, 현장실증 수행을 통한 맞춤형 보조기기 개발 및 확산
- (다양한 보조기기 개발문화 확산) 장애인·노인의 맞춤형 보조기기 개발을 위해 보조기기 해커톤(단기간 집단지성을 통한 개발), 보조기기 메이커페어(개발된 보조기기 공개 및 체험 전시회), 대학 기반 보조기기 개발(대학생 대상 사용자의 이해를 높이고, 개발 아이디어 발굴), 외부기업 및 메이커스페이스 연계(개발된 보조기기의 사업화 및 전국 메이커스페이스 연계)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한 보조기기 개발문화 확산

수요 맞춤형 보조기기 R&D 과정
- 1. 수요제출-전동휠체어를 타면 시야가 한정되어 정면 외에는 보기가 어려워 사고의 위험이 있어 늘 불안합니다.
- 2. 수요자와 함께 공동 연구개발
- 3. 보조기기 적용(현장실증)-이제 후방카메라 덕분에 좁거나, 붐비는 곳에서도 휠체어 뒤를 볼 수 있어서 안전하게 다닐 수 있게 되었어요!
- 4. 오픈소스로 공유 및 확산